인생은 쉽지 않다. 하나 해결하면 하나가 문제다.
하루가 좋으면 이틀은 우울하고 힘든 일이 닦치는게 인생이다.
그럼에도 지속적으로 성공하고 잘 사는 사람들이 있다. 아무리 금수저여도 누구나 나쁜 경험을 할 수 밖에 없는게 인생이다. 누구나 괴롭고 어려운 일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성공을 하는 사람들은 '어려운 일을 겪되, 편했던 모습으로 다시 곧 돌아가는 회복력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들이 가진 5가지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1. 외면과 내면의 조화 유지
'내면' 개인의 생각과 감정, '외면' 개인이 선택해 세상에 드러나는 본인의 모습이다.
이것이 건강한 회복력을 가진 사람은 일치한다. 즉, 힘든데 안 힘든척, 우울한데 안우울척을 계속 하면 정신건강이 무너진다. 공적인 자리에서는 좋은 모습을 유지하려고 한다해도 사적인 공간이나 스스로에 대해서는 내면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것을 그대로 방출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2. 설정한 목표의 가치 성찰
난처한 상황에 빠졌을 때 무작정 앞만 보고 목표를 향하지 않는다. 상황에 맞게 목표를 수정해 나가는 것이 지속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가는 방법이다.
3. 타인과 끈끈한 관계 유지
높은 회복력을 가진 사람들의 세번 째 공통점은 "타인의 지지에 힘입어 사람들은 회복력을 강화할 수 있다"
팀원들끼리 끈끈한 연결이 이뤄지도록 리더가 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4. 비교하지 않고 감사 연습
자기자신을 타인과 비교하거나 리더 또는 스스로가 자신을 타사의 직원과 비교하면 감사함을 잃게 된다.
작은 것이라도 매일매일 감사하다고 상기시키거나 속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갖자. 인생이 힘든 것이 아닌 좋은 것, 아름다운 것으로까지 변한다.
5.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점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는 과정은 생각보다 매우 길다. 초반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아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많이 든다. 유투버가 된다거나 유명한 블로거가 되는 것도 첫 3달은 수익은 커녕 아무도 관심없고 나 혼자 쇼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을 즐기고 그 과정 속에서 무언가를 발견한다면 그간의 노력은 의미와 가치있는 것이 된다.
또한 처음부터 완벽함에 중점을 두지 말고 과정에 중점을 둔다면 시간이 축적되면서 점점 보완이 되서 완벽해지고 그것이 나중에 커다란 자산이 될 수 있다.
"두려움과 실패 가능성을 마주하더라도 현재 놓인 상황을 돌파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는 연습"을 해보자.
출처 : 미국의 인재 관리·리더십 개발 컨설팅 회사 '회복탄력성 리더십 기관(Resilience Leadership in Institute)